Quick menu

BAROBONE

관절 클리닉

어깨
관절클리닉

회전근개파열

회전근개파열이란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과 힘줄로 이루어진
회전근개에 손상으로 때문인 변형과 파열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어깨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들에는 이 사이를 통과하는 4개의 근육이 있는데 이들의 주요기능이
팔을 안으로 또는 바깥으로 돌리는 회전기능을 하므로 회전근이라 불립니다.

몸통의 견갑골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근위부로 붙는데 부착 시에는 힘줄로 바뀌어 단단히 고정됩니다.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및 소원근의 네 개의 근육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기관인 것처럼 움직여서
팔의 회전 운동뿐 아니라 상완골두를 견갑와중심에 잘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회전근개파열
주요원인
  •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퇴행이 진행되는 경우
  • 반복적인 팔의 과사용
  • 너무 무거운 것을 드는 경우 특히 머리 위로 들려고 할 때
회전근개파열
증상
  • 팔을 들거나 손을 등 뒤로 했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
  • 팔을 움직이면 어깨에서 마찰음 같은 소리가 들린다.
  • 밤이 되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 팔에 힘이 빠지고 무기력한 느낌이 든다.
  • 평소에 간헐적이고 가벼운 불편감, 통증이 있다.
회전근개파열
치료방법
  • 약물치료,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등 보존적 치료
  • 관절경 회전근개 봉합술 :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
관절클리닉

오십견

오십견이란 어깨 관절을 감싸는 관절낭의 비대와 유착으로 인해 통증과 손상 유발로 해당 부위에 불편함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어깨관절은 상박골의 머리와 관절와가 만나는 부위로 다리의 고관절에 비해 불안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 어깨관절에는 관절낭이 있는데, 이 조직이 두꺼워져 관절과 달라붙고, 달라붙은 부위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오십견입니다.

오십견은 회전근개파열, 어깨충돌증후군과 함께 어깨의 대표적인 관절질환으로 움직임이 적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겨울철에 많이 나타나고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는 일이 많습니다.
병명처럼 주로 오십 대의 중년에게 많이 나타났지만, 최근에선 발병연령층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오십견
주요원인
  • 당뇨 또는 갑상선 질환 등의
    내분비계 질환이 있는 경우
  • 어깨힘줄파열 및 석회화건염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병하는 경우
  • 운동 부족 혹은 장기간 석고,
    붕대로 고정하여 움직임이 적은 경우
오십견
증상
  • 어깨가 아파 잠이 깨는 경우가 있다.
  • 어깨를 쓰지 않을 때도 통증이 느껴진다.
  • 옷 뒤의 지퍼를 채우거나 입거나 벗기가 힘들다.
  • 손을 위로 뻗거나 멀리 있는 물건을 집기 힘들다.
  • 통증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강도가 점점 심해진다.
오십견
치료방법
  •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 관절수동술: 초음파를 보면서 어깨 관절 내 유착방지제와 염증 치료제를 주입한 뒤 굳은 관절막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시술
  • 관절내시경 수술: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관절 내 이상 병변을 확인하여 제거하고 수축된 관절낭을 유리시켜 주는 수술
관절클리닉

어깨충돌증후군

어깨충돌증후군이란 격한 운동과 스트레스 그리고 노화로 인해
어깨관절을 덮는 견봉과 회전근개가 충돌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충돌증후군은 가장 흔하게 오는 어깨 질환이며 상대적으로 젊은 30-40대의 나이에서도 호발 합니다.
원인으로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어깨 관절의 지붕에 해당하는 견봉의 공간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내버려둘 경우 회전근개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견봉하 공간이 매우 좁지 않으면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기대해 볼 수 있으며 관절 내시경을 통해 뼈가 자란 부위를 제거하며 염증조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관절경 수술은 피부를 많이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후유증이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

어깨충돌증후군
주요원인
  • 지속적으로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 격한 운동을 즐겨하는 경우
  • 바르지 못한 자세로 활동하는 경우
어깨충돌증후군
증상
  • 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젖히면 통증이 느껴진다.
  • 밤만 되면 통증이 심해진다.
  • 팔을 움직이면 관절 쪽에서 소리가 난다.
  • 목디스크처럼 뒷목이 아프고 팔이 저리다.
  • 팔을 심하게 움직일 때 통증이 느껴진다.
어깨충돌증후군
치료방법
  •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 관절내시경 수술: 절개 없이 내시경을 어깨 내 삽입하여 관절 상태를 확인하면서 병변이 있는 부위를 절제하고 불규칙한 관절면을 정리해주는 수술
관절클리닉

석회성건염

석회성건염이란 회전근의 힘줄 부근에 석회가 침착하여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고 운동에 제약을 주는 질환입니다.

석회성건염은 어깨의 힘줄이 손상되거나 파열되어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힘줄 주변에 칼슘이 쌓여 석회가 침착되는데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잘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노화 때문인 힘줄의 퇴행과 운동이나 무리한 어깨 사용으로 힘줄이 손상된 경우 그리고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직군의 사람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석회성건염
주요원인
  • 부분적으로 혈류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 힘줄의 퇴행성 변화
  • 당뇨 등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석회성건염
증상
  • 밤이 되면 극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 팔이 쑤시거나 찌르는듯한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
  • 통증이 간헐적이다.
  • 팔의 기동 범위가 줄어들었다.
  • 아픈 쪽으로 눕기가 힘들다.
석회성건염
치료방법
  • 주사치료, 약물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
  • 관절내시경 수술: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인대 속 석회와 염증을 제거해 주고 손상된 주변 힘줄을 다듬어주는 수술
관절클리닉

관절와순파열

관절와순파열이란 견갑골의 관절을 둘러싼 관절와순이 찢어져
어깨의 가동범위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입니다.

어깨에는 견갑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질형태의 연골인 관절와순이 있습니다.
이 관절와순은 위치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상 받기 쉬운데, 찢어지는 부위에 따라 진단이 달라집니다.

과거에는 야구와 같이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들에게 주로 발생하였으나 스포츠의 보편화로 젊은 층의 남성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손상 받기 쉬운 부위이기 때문에 낙상이나 염좌, 팔에 강한 무게를 가하는 경우, 팔을 들어 흔드는 동작을 반복했을 경우와 같이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절와순파열
주요원인
  • 무리하게 공을 던지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 반복적인
    어깨운동을 할 경우
  • 어깨를 부딪혀
    어깨 손상이 된 경우
관절와순파열
증상
  • 어깨가 무겁고 불안정하다.
  •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의 행위를 할 때 통증이 느껴진다.
  • 관절에서 뚝하는 소리가 난다.
  • 어깨 통증이 점점 심해진다.
  • 팔을 이용해 옷을 벗는 행위가 힘들다.
관절와순파열
치료방법
  • 관절와순파열 수술 후 회복을 위해 도수치료
  • 관절경적 관절와순파열 봉합술
관절클리닉

습관성어깨탈구

습관성어깨탈구란 선천적, 후천적 원인 때문에 어깨관절이 자리에서 벗어나
통증을 일으키고 나아가 신경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어깨는 인대, 연골 뼈, 어깨관절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부위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어깨 탈구는 그 부위들이 자리에서 벗어난 상태를 말하는데 아주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하지만 외상의 충격에 의한 탈구 시 관절이 손상된 경우 어깨가 습관적으로 빠지게 되고
아주 작은 충격에도 쉽게 탈구가 발생하며, 다음에는 신경의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습관성어깨탈구
주요원인
  • 어깨 사용이 잦은 직업군이거나 운동을 즐겨하는 젊은 층에서 주로 발생
  • 관절낭이 많이 늘어나있는 경우
  • 어깨 인대가 선천적으로 약하거나 유연성이 좋은 경우에도 발생
습관성어깨탈구
증상
  • 양팔의 길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 어깨 부위가 자주 붓는 경우가 있다.
  • 어깨 부위에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낀다.
  • 어깨를 뒤에서 밀면 앞으로 빠지는 느낌이 든다.
  • 아주 가벼운 충격에도 탈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습관성어깨탈구
치료방법
  • 선천적으로 관절이 느슨한 환자의 경우 비수술적인 치료로 운동이나 어깨 관절을 강화하는 재활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 외상으로 일어난 습관성 탈구의 경우 관절 내시경을 이용하여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